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Rep+rt
2025.03.28 MARKET REP+RT 본문
반응형
미국시장 개괄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로 명명한 '상호관세' 발표일(4월 2일)이 다가오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을 긴장시키고 있다.
- 미국의 인터넷매체인 악시오스는 27일(현지시간) 미국의 관세는 트럼프 대통령이 더 높은 물가와 주식시장 폭락을 초래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보도했다.
-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6일 자국 자동차업체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모든 수입 자동차와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해 충격을 안겼다. 이는 중국과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20~25%의 관세와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에 이은 것이었다. 이게 다가 아니다. 반도체와 의약품 등에 대한 별도의 관세도 예고했다.
- CNBC방송에 따르면 당장 자동차 관세는 미국 소비자들의 발등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골드만삭스는 25% 관세로 인해 미국의 수입차 가격은 대당 평균 5000 달러에서 1만5000 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봤다.
- 이러한 관세 정책은 수입 부품 가격 상승으로 미국 현지에서 생산된 자동차도 대당 약 8000달러가 오를 수 있다.
- 이러한 관세 우려는 아시아 전역의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미국의 외국산 자동차 관세와 관련해 "모든 적절한 대응을 강구해 나가야 하며, 모든 선택지를 검토 대상에 둘 것"이라고 언급했다. 캐나다, 멕시코, 영국 등 주요국 정상들도 이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코스피 시황
- 코스피는 28일 전 거래일 대비 49.17포인트(1.89%) 하락한 2,557.98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종가 기준으로 3월 14일 이후 처음으로 2500선까지 밀린 것이며, 장중 한때 2549.26까지 하락하며 하방 압력이 더욱 커졌다.
- 코스닥지수도 13.73포인트(1.94%) 하락한 693.76으로 마감되어 3개월 만에 700선 아래로 떨어졌다.
-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약 6400억 원, 코스닥시장에서는 1150억 원 넘게 순매도했다. 반면 개인 투자자는 코스피에서 5400억 원 이상, 코스닥에서도 1190억 원가량 순매수했으나 전체적인 하락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2.59%), SK하이닉스(-3.72%), 현대차(-3.53%), 기아(-2.66%) 등이 줄줄이 하락했다.
- 코스피 시장 침체의 주요 원인은 공매도 재개와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 우려이다. 오는 31일 공매도가 전면 재개되고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이 투자 심리를 크게 위축시키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산 완성차에 대한 예외 없는 25%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자동차 업종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의 관세 이슈와 공매도 재개라는 이중 악재로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심리가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 오는 31일, 한국에서는 공매도가 전면 재개된다. 이는 일시적으로 금지되었던 제도가 다시 시행되면서, 특히 외국인과 기관이 이를 활용해 대형주의 하락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인 투자자들의 우려가 큰 상황이다.
- 과거 공매도 재개 시기를 살펴보면, 시장이 단기적으로 크게 흔들리지만, 일정 시점 이후에는 오히려 매수 기회가 열리는 경우가 많았다.
- 시장의 공포는 곧 기회가 될 수 있으나, 공매도 충격은 보통 1~2주 정도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섣부른 진입보다는 냉정한 관찰이 필요하다.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클 수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오히려 기회일 수 있다.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같은 대형주 중심으로 하락 구간에서 매수 타이밍을 검토할 수 있으나, 무리한 매수보다는 분할매수 전략을 통해 리스크를 줄이고, 공매도 재개 후 1~2주간의 시장 흐름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 AI와 반도체 등 장기 성장성이 높은 업종은 당장의 하락보다 회복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 개인 투자자라면 무리한 단기 수익보다는 중장기 포트폴리오 구성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변동성이 클 때일수록 자신의 투자 원칙과 계획을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니케이 지수 시황
- 일본 니케이225 지수는 전일 종가보다 1.80%(679.64엔) 하락한 37,120.33엔에 거래를 마쳤다. 토픽스(TOPIX) 지수도 2.07% 하락한 2,757.25에 마감했다.
- 일본 증시는 개장 초반부터 장중 내내 하락세를 유지했으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수입 자동차와 차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면서 일본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 실제로 시장에서는 수익 악화 우려로 마쓰다자동차(-5.99%), 혼다자동차(-2.48%), 도요타자동차(-2.04%), 닛산자동차(-1.68%) 등 자동차 관련주 중심으로 매도세가 출회됐다.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미국의 외국산 자동차 관세와 관련해 일본 경제에 "극도로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 일본은행(BOJ) 내부에서도 미국발 관세 문제가 일본의 실물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일본 에스엠비시닛코증권은 자동차 25% 추가 관세가 실제 시행되면, 관련 산업에서 한해 최대 1조7500억엔(17조원) 수익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 Sensex 지수 시황
- 인도 SENSEX 지수는 28일 오후 2시 현재 전장대비 140.38포인트(0.18%) 하락해 77,466.05를 나타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그 경제적 여파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발생한 것이다.
- 인도의 주요 주식 시장 지수인 SENSEX는 2025년 초부터 4941포인트 또는 6.32% 하락했다.
- 인도 증시에서는 ICICI 은행, Bharti Airtel, Reliance Industries와 같은 일부 대형주의 주가 상승이 IndusInd 은행, Infosys, Mahindra & Mahindra의 하락으로 상쇄됐다.
- 특히 IndusInd 은행은 파생상품 회계의 불일치 보고 후 4년 만에 최저치로 27.2% 급락하며 은행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 Sun Pharma는 Checkpoint 인수를 통해 피부암 부문에 접근할 수 있다는 여러 증권사의 평가 후 2.6% 상승하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항셍 지수 시황
- 홍콩 항셍 지수는 전장대비 0.65% 내린 23,426.60에 장을 마감했다. 항셍 H지수는 0.82% 하락한 8,606.51에 거래를 마쳤다.
- 홍콩 증시는 28일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우려와 이익확정 매물 출회로 3거래일 만에 반락 마감했다.
- 이날 홍콩 증시 또한 미국 관세 정책 여파에 촉각을 기울이며 약세를 나타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수입 자동차와 차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면서 중국과 글로벌 경제에 미칠 후폭풍에 대한 우려가 증시를 짓눌렀다.
- 전체적으로 투자자들은 미국의 관세 정책이 중국을 비롯한 주요 수출국 경제에 미칠 영향력을 계속해서 파악하고 있는 중이다.
상해종합지수 시황
-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67% 내린 3,351.31에 장을 마감했다. 선전종합지수는 0.9% 떨어진 2,026.18을 기록했다. 중국 증시는 개장 초반 약보합권에서 출발해 장중 낙폭을 꾸준히 확대했다.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나 "경제 및 무역 마찰은 동등한 대화와 협의를 통해 적절히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중국은 상호 존중과 평화 공존, 상생 협력의 원칙에 따라 중미 관계를 처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자국에게 매각하도록 협력하면 대중 관세를 인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 한편, 모건스탠리는 중국 본토 주식에 대한 투자 심리가 약화하고 있으며, 이는 거래량 감소로 확인된다고 진단했다.
호주 ASX50 지수 시황
- 호주 주식 시장은 금요일(28일)에 0.16% 상승하여 7,982로 마감했다. 이는 이전 손실에서 회복했지만 미국의 새로운 관세가 다음 주에 시행될 것을 앞두고 시장의 주의가 상승을 제한했다.
- 무역 긴장이 고조되면서 주요 무역 파트너들로부터 보복을 우려하며 세계 경제 전망이 흐릿해졌다.
- 주목할 만한 상승주는 Telstra Group (+2.2%), Northern Star Resources (+3.9%), Wesfarmers (+1.1%), Evolution Mining (+3.3%), 그리고 Coles Group (+1.5%)이 있다.
- 투자자들은 다음 주 호주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결정에 주목하고 있으며, 중앙은행이 이자율을 4.1%로 유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호주 정치권에서는 앤소니 알바니지 연방 총리가 오는 5월 3일 연방 총선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28일인 오늘부터 5주간의 선거운동이 진행되며, 노동당과 자유당연립의 치열한 접전이 예상된다.
- 자유당연립은 정권을 잡더라도 추가적인 감세를 제공하지 않겠다고 밝히고, 대신 전기 요금 및 연료비 절감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다.
말레이시아 인덱스 시황
- 말레이시아의 주요 주식 시장 지수(FKLCI)는 2025년 초부터 계약 거래를 통해 추적되는 이 지수에 따르면 68포인트 또는 4.12% 하락했다. 역사적으로, 말레이시아 주식 시장(FBM KLCI)은 2014년 7월에 1896.23의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현재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말레이시아 경제와 관련된 주요 뉴스로는 TSMC, 인텔 및 여러 주요 칩 제조업체들이 구형 칩에 대한 수요 부진과 미국 관세에 대한 우려로 일본과 말레이시아에서의 확장 속도를 늦추고 있다는 점이 있다.
-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말레이시아 링깃의 매매기준율은 330.74원을 기록했다.
대만 가권지수 시황
- 대만 가권 지수는 전장 대비 1.59% 떨어진 21,602.89에 거래를 마쳤다. 대만 증시는 미국발 관세 우려 속에 다른 아시아 증시 분위기와 연동하며 하락했다.
- 미국의 상호 관세 우려에 다른 아시아 증시도 일제히 약세를 보였으며, 대만 가권지수(-1.39%)도 그 영향을 받았다.
- 대만 증시는 미국의 관세 정책 발표로 인해 위험 회피 심리가 심화되어 투자심리가 약화되었다. 특히 자동차 및 반도체 기업들에 대한 부담이 증가한 상황에서 하락폭이 컸다.
전 세계 금융시장의 주요 이슈와 향후 전망
- 현재 글로벌 증시는 공매도와 관세라는 이슈로 인해 큰 흔들림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런 시기일수록 감정적인 투자보다는 냉정한 판단과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 시장 흐름을 무조건 두려워하기보다는, 이를 기회로 삼기 위한 분석과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 앞으로의 투자 환경에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주시해야 한다.
-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가 4월 2일로 예정되어 있고, 이에 따른 글로벌 시장의 반응을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 한국 증시에서는 31일 공매도 재개 이후의 시장 동향을 체크해야 한다.
- 금리 정책도 중요한 변수인데,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와 규모에 대한 전망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 28일 밤에는 미국의 2월 근원 소비지출물가지수와 미시간대 소비자기대지수가 발표될 예정이며, 이 지표들이 향후 금리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한국의 경우, 다음 주 코스피 지수의 기술적 지지선은 2550선이며, 코스닥은 이전 저점 이탈 시 670~680 구간까지 추가 조정 가능성이 있다. 변동성이 큰 현 상황에서는 품질이 좋은 종목을 중심으로 한 분할 매수 전략과 중장기 포트폴리오 구성에 집중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경제금융이야기 >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3.31 MARKET REP+RT (8) | 2025.03.31 |
---|---|
2025.03.29 US MARKET REP+RT (6) | 2025.03.29 |
2025.03.28 US MARKET REP+RT (5) | 2025.03.28 |
2025.03.27 MARKET REP+RT (4) | 2025.03.27 |
2025.03.27 US MARKET REP+RT (3)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