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rt

2025.03.19 US MARKET REP+RT 본문

경제금융이야기/시황

2025.03.19 US MARKET REP+RT

ALLENPARK 2025. 3. 19. 10:40
반응형

 

 
 

미국 시장 주요 뉴스  

  • 2025년 3월 18일과 19일 미국 시장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 투자 심리는 미국 경제의 잠재적 경기 침체 우려와 관세 영향에 대한 불확실성에 의해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 미국 달러 대비 한국 원화 환율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으며, 상품 시장에서는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 반면, 유가와 곡물 가격은 혼조세를 나타냈다.
  •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진행 중인 가운데, 시장은 향후 통화 정책 방향에 대한 신호를 주시하고 있다.
  • 주요 하락 종목: 
    • 반도체 대기업인 엔비디아(NVDA)는 주요 컨퍼런스에서 최신 AI 칩을 공개했음에도 불구하고 3.4% 하락했다. 웨드부시의 분석가들은 엔비디아의 이벤트가 AI에 대한 현실적인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거시 경제 불확실성이 단기적인 역풍을 일으킬 수 있지만 장기적인 대규모 기술 투자를 저해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AI 서버 제조업체이자 엔비디아의 파트너인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SMCI)는 S&P 500 종목 중 가장 큰 폭인 9.6% 하락했다. 이는 AI 산업의 단기적인 성장 전망에 대한 시장의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 노르웨이지안 크루즈 라인 홀딩스(NCLH)는 JP모건 분석가들의 투자의견 상향 조정 이후 상승분을 반납하며 4.8% 하락했다. 경영진은 분석가들과의 회의에서 안정적인 수요를 강조했지만, 지정학적 긴장 고조와 경제적 불확실성이 여행 수요에 잠재적인 역풍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 노르웨이지안 크루즈 라인 홀딩스의 경쟁사인 로열 캐리비안 크루즈(RCL)는 더욱 큰 폭인 7.3% 하락했다. 이는 크루즈 산업 전반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 테슬라(TSLA) 주가는 RBC 캐피탈이 자율 주행 기술 및 중국과 유럽에서의 로보택시 출시, 그리고 중국 경쟁사인 BYD의 초고속 EV 충전기 출시 계획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목표 주가를 하향 조정한 후 5.3% 하락하며 최근의 하락세를 이어갔다. 
  • 주요 상승 종목:
    • 신용카드 발급사인 디스커버 파이낸셜 서비스(DFS)는 법무부 관리들이 캐피탈 원 파이낸셜(COF)과의 합병에 대해 반독점 우려를 제기했다는 보도 이후 전날의 손실을 만회하며 S&P 500 종목 중 가장 높은 일일 상승률인 3.8%를 기록했다. 씨티의 분석가들은 규제 당국이 서브프라임 시장의 잠재적 집중을 문제 삼더라도 양사가 만족스러운 합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캐피탈 원(COF) 주가도 2.1%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이는 합병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 농업 화학 제품 공급업체인 모자이크(MOS)는 화요일 2025년 분석가의 날 행사를 개최한 후 주가가 2.5% 상승했다. 회사는 인구 증가, 식량 안보 우선 순위, 경작지 제한 등 작물 영양소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할 여러 거시 경제 추세를 강조했다
    • 휴마나(HUM) 주가는 건강 보험 대기업이 노년층의 근골격계 치료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아이콘 헬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후 2.0% 상승했다. 플로리다 주 팜비치 카운티에서 시작될 예정인 이 계획은 노년층 환자를 위한 휴마나의 센터웰 및 콘비바 사업부가 1차 진료 센터에 근골격계 전문의를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회사명 변화율 (%) 이유
디스커버 파이낸셜 서비스 (DFS) +3.8% 반독점 우려 이후 회복; 캐피탈 원과의 합병 가능성 여전히 존재.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 (SMCI) -9.6% 엔비디아 컨퍼런스 이후 AI 기대감에 대한 현실 점검 가능성.
테슬라 (TSLA) -5.3% 자율 주행 기술, 로보택시 출시, 경쟁 심화에 대한 우려.
엔비디아 (NVDA) -3.4% AI 칩 발표 이후 AI 기대감에 대한 현실 점검 가능성.
노르웨이지안 크루즈 라인 (NCLH) -4.8% 지정학적 긴장 고조 및 경제 불확실성이 여행 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
로열 캐리비안 크루즈 (RCL) -7.3% 크루즈 산업 전반에 대한 우려 및 경제 불확실성의 잠재적 영향.
모자이크 (MOS) +2.5% 회사의 2025년 분석가의 날 행사에서 작물 영양소 수요 증가 등 긍정적인 전망 제시.
휴마나 (HUM) +2.0% 노년층의 근골격계 치료 접근성 개선을 위한 아이콘 헬스와의 파트너십 체결.

         

환율 시장 시황 및 주요 뉴스  

  • 환율 시장에서는 오늘 원/달러 환율이 미국 달러의 약세와 함께 하락세를 보이며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 서울 외환시장에서 확인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3월 19일 오전 9시 27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일 종가보다 1.4원 낮은 1,451.5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달러의 약세를 반영한 결과이다.  
  • 또한, 현찰 살 때의 환율은 1,479.44원, 현찰 팔 때의 환율은 1,423.65원으로 나타났으며, 송금 보낼 때와 받을 때의 환율도 각각 1,468.30원과 1,434.70원으로 확인되어 다양한 거래 방식에서 환율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 지난 2025년 2월 28일 기준으로 미국 달러(USD)는 1,463.40원에 거래되었으며, 이는 전일 대비 16.9원 상승한 수치로 나타났으나, 이후 시장의 재조정 과정을 겪으며 다시 하락세로 전환된 것으로 분석된다.  
  • 중국 위안화(CNY)는 200.47원으로 소폭 상승하였고, 유로(EUR)는 1,520.47원, 일본 엔화(JPY)는 975.24원으로 각각 상승한 모습을 보이며, 주요 외국 통화 간의 환율 변동도 면밀히 주시되고 있다.  
  • 환율 뉴스 보도에서는 국제 정세 불안과 고환율 등 다양한 요인이 환율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외환시장 전문가들은 달러 약세가 지속될 경우 원/달러 환율이 단기적으로 추가 하락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또한, 주요 금융기관들은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 관리와 함께, 각국 중앙은행의 정책 방향과 경제 지표에 주목하며 단기 거래 전략을 재검토 중이라는 분석이 제시되고 있다.  
  • 주요 은행들의 환율 발표에 따르면, 현재 원/달러 환율은 1,450원대 초반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있어 유리한 환전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 환율 시장의 핵심 변수는 달러의 강세와 약세에 따른 주요 외국 통화 대비 원화의 평가절하 여부이며, 이러한 변수들은 앞으로의 경제 지표 발표 및 국제 정치 상황에 따라 크게 좌우될 전망이다.  
  • 전반적으로 환율 시장은 단기적인 변동성 확대와 함께,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맞물려 심리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어, 투자자들이 세밀한 환율 동향 모니터링과 신속한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 3월 18일 미국 달러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인 가운데, 인도 루피화가 미국 달러 대비 거의 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는 미국 달러 약세가 USD/KRW 환율이 관찰된 수준을 유지하거나 소폭 하락 압력을 받는 데 기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진행 중인 FOMC 회의는 미국 달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중요한 요인이다. 분석가들은 연준의 향후 금리 인하에 대한 태도가 달러화 강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한다. FOMC 회의 결과와 연준의 통화 정책 조정 신호에 따라 USD/KRW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

 

원자재 시장 시황 및 주요 뉴스  

  • 원자재 시장은 현재 에너지, 귀금속, 산업용 금속 및 농산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복합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여파, 기후 변화의 영향을 동시에 받고 있다.  
  • 에너지 시장에서는 WTI(서부텍사스산 원유)와 브렌트유가 각각 배럴당 67달러 중반대와 71달러 초반대를 기록하며, 지정학적 긴장과 중동 지역의 불안정성이 유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트럼프 정부가 예멘 후티 반군에 대한 공격을 감행한 이후, 국제유가는 공급 우려와 함께 투자 심리를 자극하며 단기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 천연가스 시장은 지정학적 요인에 따른 공급 우려와 더불어, 봄철 기온 상승 및 생산량 증가에 따른 수급 안정 효과가 상쇄되어 2%대 하락하며 2주래 최저치 수준으로 마감된 점이 주목된다.  
  • 금 선물이 온스당 3,009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는 등,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진 상황에서 주요 투자 대상으로 부각되었다.이러한 강력한 상승세는 경제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긴장 속에서 안전 자산으로서의 금의 전통적인 역할을 반영하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잠재적인 통화 완화 기대감에 의해 더욱 촉진되었다. 또한, 전 세계 중앙은행과 가계의 금 매입 증가도 강력한 금 수요에 기여하고 있다. 주요 금융 기관들은 금 가격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으며, 일부에서는 온스당 3,100달러, 3,200달러, 심지어 3,500달러까지 추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투자자들은 불확실성 확산과 미국 경제 전망 악화 우려 속에서 미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고려해 금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금 가격 상승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  
  • 구리 가격 역시 1.6% 상승하며 5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주요 산업용 금속의 가격 안정화와 함께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감이 반영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원자재 시장에서는 오렌지주스 선물가격이 파운드당 3.91달러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식료품 원자재 분야에서도 전년 대비 급등한 가격 변동이 나타나고 있다.  
  • 국제 올리브유 가격은 남유럽 지역의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가격이 kg당 7유로에 달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함으로써, 기후 변화와 공급 부족 이슈가 직접적인 가격 충격을 주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 이 외에도 미국 커피, 옥수수, 소맥, 원면, 코코아 등 농산물과 산업재의 가격 변동성이 동시에 나타나며, 각각의 상품군마다 단기적인 변동성과 중장기적인 수급 전망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 곡물 시장은 혼조세를 보였다. 미국과 흑해 지역의 건조한 날씨에 대한 우려로 밀 가격이 급등했다.
  • 옥수수와 콩 선물은 차익 실현 매물과 옥수수 재배 면적 증가에 대한 우려, 그리고 콩의 남미 수확 압력으로 인해 하락 마감했다.
  • 브라질의 국내 옥수수 가격은 강력한 수요와 낮은 재고로 인해 2022년 4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 미국 농무부(USDA)는 2024년 작물 연도에 대해 긴급 상품 지원 프로그램(ECAP)을 통해 농가에 최대 100억 달러의 직접 경제 지원을 발표했다. 신청은 2025년 3월 19일에 시작되며, 다양한 곡물에 대한 에이커당 특정 지급률이 적용된다.
상품 가격/단위 (대략) 변화 (대략) 주요 영향 요인
WTI 원유 배럴당 66.70 - 68.44달러 약 1% 하락 우크라이나 회담으로 인한 러시아 석유 제재 완화 가능성이 중동 긴장 고조를 상쇄.
브렌트유 배럴당 70.46 - 71.93달러 1% 미만 하락 WTI 원유와 동일.
금 선물 온스당 3000달러 이상 약 1% 상승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무역 긴장, 연준 완화 기대, 중앙은행 및 가계 매수 증가.
옥수수 선물 하락 하락 차익 실현, 미국 재배 면적 및 재고 증가 우려, 브라질의 강력한 수요에도 불구하고.
콩 선물 소폭 하락 하락 남미 수확 압력, 중국의 강력한 수요에도 불구하고.
밀 선물 상승 상승 주요 생산 지역 (미국 남부 평원, 흑해 지역)의 건조한 날씨로 인한 공급 우려.

 

'경제금융이야기 >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3.20 MARKET REP+RT  (8) 2025.03.20
2025.03.20 US MARKET REP+RT  (5) 2025.03.20
2025.03.19 MARKET REP+RT  (7) 2025.03.19
2025.03.18 MARKET REP+RT  (2) 2025.03.18
2025.03.17 MARKET REP+RT  (0)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