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Rep+rt
2025.04.22 MARKET R+PORT 본문
반응형
코스피 시황 및 주요 뉴스
- 코스피는 전일 대비 1.78포인트(0.07%) 하락한 2,486.64에 종가를 기록하였다.
-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 2,481.18로 출발하여 한때 상승 전환하였으나, 오후 들어 다시 하락세로 돌아서며 약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한 끝에 마감하였다.
- 투자자별로는 외국인이 2,429억 원가량을 순매도하였으며, 개인(1,667억 원)과 기관(107억 원)이 순매수로 대응하였다.
- 종목별로 462개 종목이 상승, 416개 종목이 하락, 55개 종목이 보합으로 나타났으며,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혼조세를 보였다.
- 주요 영향 요인으로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 트럼프 전 대통령의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한 비판, 글로벌 증시 변동성 증가 등이 있었다.
- 국내에서는 대선 확정으로 정치 테마주 쏠림 현상과 소형주 거래 활황이 두드러지면서 거래량은 늘고 거래대금은 감소하는 역설적 현상이 나타났다.
- 연기금이 18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이어가며 시장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했다.
일본 니케이225 시황 및 주요 뉴스
- 일본 니케이225 지수는 종가 34,163.73을 기록하며 전일 대비 0.34% 하락하였다.
- 이날 장중에는 34,188포인트(-0.27%) 부근에서 움직였으며, 월스트리트의 급락과 미·일 무역 협상 미진, 엔화 강세가 하락세를 부추겼다.
- 주요 종목별로 미쓰비시 UFJ, 닛산자동차 등 수출주 중심의 약세가 부각되었고, 일부 내수주와 방어주는 소폭 상승하였다.
- 엔화가 달러 대비 5~8% 급등해 약 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일본 수출기업에 악재로 작용하였다.
- 미국발 금리 인하 압박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연준 의장 파월의 해임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중앙은행 독립성 훼손 우려가 부각되었다.
- 미·일 간 관세 정책 협상이 조기 진전을 이루지 못해 실망감이 커졌으며, 트럼프발 보호무역주의와 고율 관세 정책에 대한 경계감이 투자심리를 악화시켰다.
- 전체적으로 미국과 일본의 무역정책 및 통화정책 불확실성, 엔화 강세라는 복합적 압력이 니케이 하락에 결정적으로 작용하였다.
인도 Sensex 시황 및 주요 뉴스
- 인도 Sensex 지수는 종가 79,678.96으로 전일 대비 270.46포인트(0.34%) 상승하였다.
- 당일 Sensex30 지수 역시 0.24% 상승한 79,595.59에 거래를 마쳤다.
- 인도 증시는 이날도 강한 상승 모멘텀을 유지하였으며, 대형 금융주 주도의 강세가 나타났다.
- 인도 정부가 중국산 철강 수입품에 12%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자국 산업 보호를 강화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 미국과의 지정학적 무역 협상에서 아마존, 월마트의 인도 시장 진출을 요구하는 협상의 진전과 미국 내 관세 정책 유예 조치 역시 증시에 우호적으로 작용하였다.
- 애플의 인도 내 생산 확대와 마이크론 등 첨단 제조 설비 투자 소식도 국내외 투자심리를 개선시켰다.
- 글로벌 무역 긴장에도 불구하고 인도 경제의 구조적 회복력, 강력한 내수 성장 동력이 증시 상승 배경으로 꼽힌다.
홍콩 항셍지수 시황 및 주요 뉴스
- 홍콩 항셍지수는 21,562.32로 전일 대비 167.18포인트(0.78%) 상승 마감하였다.
- 항셍H 지수 역시 53.35포인트(0.68%) 상승한 7,950.79를 기록하였다.
- 이날 항셍지수의 상승은 미중 무역 긴장 완화 기대와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 기대감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 기술주를 비롯한 대형 종목에 중국 자금 유입이 지속되면서 지수 상승을 뒷받침하였다.
- 테크기업 30개를 반영하는 항셍테크지수도 소폭 상승하였다.
-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전쟁에 대한 우려와 중국 정부의 내수 및 자산시장 부양 정책 기대감이 혼재하면서 보합권 혼조세가 이어졌다.
- 홍콩 H지수 연계 ELS 사태 이후 관련 파생상품 수요 감소와 글로벌 투자자 포트폴리오 내 코스피 비중 확대 흐름도 증시 구조에 변화를 주고 있다.
중국 상해종합지수 시황 및 주요 뉴스
- 상해종합지수는 전일 대비 8.32포인트(0.25%) 상승한 3,299.76으로 종가를 기록하였다.
- 장중 상승세는 미국 연준(Fed)의 독립성 우려,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부의 내수 확대와 자산시장 부양책 기대감이 주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 리창 총리가 증시와 부동산시장 안정을 위한 강도 높은 조치를 약속한 점이 투자심리를 지지했다.
- 골드만삭스 등 주요 글로벌 투자기관이 향후 중국이 통화, 재정, 부동산, 신용 정책 등 다방면에 걸쳐 완화 조치를 강화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 '국가대표팀'으로 불리는 중앙회금과 보험자금이 시장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귀금속 섹터에서는 국제 금 가격 강세와 안전자산 선호로 금 관련주가 크게 상승하였다.
- 미중 무역 갈등의 여진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연준 압박, 미 국채시장 변동성 확대 등은 중국 시장의 상승폭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호주 ASX50 시황 및 주요 뉴스
- 2025년 4월 22일 호주 S&P/ASX200은 전 거래일 대비 0.16% 상승하여 7,982포인트에 마감하였다.
- ASX50 주요 종목은 대부분 상승하였으며, 특히 필바라 미네랄스, 미르백 그룹, 사우스32 등 광산업 및 자원 관련 주식들이 큰 거래와 함께 양호한 오름세를 기록하였다.
- 세계 무역 긴장 속에서도 광산업 중심 투자선호가 재부각되었다.
- 호주 연기금의 국내주식 비중(23%) 증가와 신규 광산업체 2차 상장 증가라는 구조적 요인도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 글로벌 지정학적 위험 회피 수요 덕분에 호주 증권거래소는 안전자산으로 더욱 주목받게 되었다.
- 2025년에는 광산업체 추가 상장(최소 4개)이 계획되어 있다.
- 금리도 4.1% 수준에서 동결 기조로 정책 연속성이 유지되면서 증시의 투자 환경 안정에 기여하였다.
말레이시아 KLCI 시황 및 주요 뉴스
- 2025년 4월 22일 말레이시아 KLCI(종합지수)는 올해 초 대비 68포인트(4.12%) 하락하며 오늘 종가기준 약세장이 이어졌다.
- 투자자 심리는 대외 지정학 및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 내부적인 정책 부담 등으로 약화되어 있다.
- 2025년 약 50개 신규 기업의 IPO 상장(2005년 이후 최대 규모)이 예고되었다.
- 정부의 첨단 제조업 진흥과 균형적 발전 정책이 장기적으로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2025년 예산안에서 내수 확대, 보조금 합리화, 첨단산업 제조투자, AI 도입 등 각종 산업 구조 변화가 반영되었다.
- 미국이 동남아시아산 태양광 패널에 최대 3521%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결정은 말레이시아 일부 제조업 수출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 경제성장률은 2025년 4.5~5.5%로 양호하게 전망되지만, 인플레이션과 정부의 보조금 축소 영향 등으로 증시 체감경기는 보수적으로 유지된다.
대만 가권지수 시황 및 주요 뉴스
- 2025년 4월 22일 대만 가권지수(자취안지수)는 전일 대비 312.77포인트(1.64%) 하락한 18,793.43으로 마감하였다.
- 이는 아시아 증시 중 가장 큰 하락폭으로 기록된다.
-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연준 파월 의장에 대해 금리 인하를 압박하며 글로벌 증시가 약세를 보인 여파가 대만 시장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 대만 수출 주문(3월)이 전년 동기 대비 12.5% 증가했으나 기대치에 못 미쳐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가 약화되었다.
- TSMC의 해외공장(미국 애리조나)에서 약 6300억 원 손실이 발생한 것도 투자 분위기를 위축시켰다.
- 4월 초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이 발표된 후 글로벌 공급망에 불확실성이 커졌다.
- 대만 정부는 증시 방어를 위해 22조 원의 공적자금 투입을 논의하는 등 단기 충격 대응에 나서고 있다.
글로벌 증시 비교 표
지수 2025.4.22 종가 등락폭 등락률 주요 이슈/뉴스
코스피 | 2,486.64 | -1.78 | -0.07% | 외국인 순매도, 美 관세협상 불확실, 소형주 거래 증가, 정치 테마주 과열 |
니케이225 | 34,163.73 | -116.19 | -0.34% | 엔화 강세(5~8%), 미·일 무역정책, 미국발 금리압박, 글로벌 증시 약세 |
인도 Sensex | 79,678.96 | +270.46 | +0.34% | 철강 수입관세 부과(中), IT·금융주 강세, 美 무역협상, 애플 등 첨단기업 투자 소식 |
홍콩 항셍 | 21,562.32 | +167.18 | +0.78% | 미중 무역갈등 완화, 中 정책 기대, 기술주 강세, H지수 ELS 여파 |
상해종합 | 3,299.76 | +8.32 | +0.25% | 경기부양책 기대, 리창 총리 증시 안정 발언, 통화완화 정책 기대, 미중긴장 여진 |
호주 ASX50 | - | - | 상승 | 광산주 강세, 연기금 국내투자 비율 높아짐, 글로벌 자산 다변화, 금리동결(4.1%) |
말레이시아 KLCI | - | -68(연초比) | -4.12% | 50개 IPO 예정, 내수 유지 정책, 동남아 태양광 패널 美 관세 부과 리스크 |
대만 가권 | 18,793.43 | -312.77 | -1.64% | 미국발 고율관세 충격, TSMC 손실, 수출둔화, 증시 공적자금 투입 논의 |
'경제금융이야기 >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10 MARKET REP+RT (7) | 2025.04.10 |
---|---|
2025.04.10 US MARKET REP+RT (2) | 2025.04.10 |
2025.04.09 MARKET REP+RT (4) | 2025.04.09 |
2025.04.09 US MARKET REP+RT (5) | 2025.04.09 |
2025.04.08 MARKET REP+RT (7)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