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Rep+rt
2025.04.10 MARKET REP+RT 본문
반응형
코스피 시황 및 주요 뉴스
- 코스피 지수는 2025년 4월 10일 전 거래일 대비 151.36포인트(6.60%) 오른 2,445.06으로 장을 마감했다.
- 코스닥 지수 역시 전 거래일 대비 5.97%(38.40포인트) 상승한 681.69로 거래를 마쳤다.
- 이날 상승폭 151.36포인트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이전 최대 상승폭은 2023년 11월 6일의 134.03포인트였다.
- 상승률 측면에서는 2020년 3월 24일(8.6%) 이후 5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는 장 초반부터 크게 상승했고, 오전 9시 6분 코스피200선물이 전일 종가 대비 5.76% 상승하자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 코스피 매수 사이드카 발동은 2024년 8월 이후 8개월 만의 일이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매수 사이드카가 내려졌는데, 코스닥 매수 사이드카 역시 2024년 8월 이후 8개월 만에 발동됐다.
- 이날 급등의 배경은 미국이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겠다는 방침 때문이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상호관세의 하한선을 10%, 상한선을 지난 2일 발표한 수준(한국 25%)이라고 부연했다.
-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3천290억 원어치, 코스닥 시장에서 1천70억 원어치를 사들였다.
- 외국인이 유가증권시장에서 3천244억원을 순매수해 현선물 합계 1조1천억원이 넘는 규모를 사들였다. 외국인이 현선물 합계 순매수를 한 것은 지난달 26일 이후 11거래일 만이다.
니케이 시황 및 주요 뉴스
- 일본 도쿄증시에서 닛케이225지수(닛케이평균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894.97포인트(9.13%) 뛴 3만4609.00에 거래를 마감했다.
- 이번 상승은 지난해 8월 6일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큰 수준이다.
- 이는 미국의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유예 발표에 따른 결과로, 일본 증시 전반에 걸쳐 투자 심리가 크게 개선되었다.
- 니케이 지수는 이번 주 큰 변동성을 보였는데, 월요일 7.8% 하락한 후 화요일 6% 상승했고, 수요일에는 4% 하락했다.
- 이러한 급격한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트럼프의 관세 유예 발표로 인해 일본 증시는 강력한 반등을 이루어냈다.
- 해당 정책은 일본 수출 기업들에게 큰 안도감을 주었고, 이는 니케이 지수의 대폭 상승으로 이어졌다.
인도 Sensex 시황 및 주요 뉴스
- 2025년 4월 10일 인도 주식시장은 마하비르 자얀티(Mahavir Jayanti, 자이나교 축제일)로 인한 공휴일로 휴장됐다.
- 인도 증시는 BSE(봄베이 증권거래소)와 NSE(국립증권거래소)를 포함한 모든 부문에서 거래가 중단됐다.
- 거래 중단은 주식, 파생상품, 증권 대출 및 차입(SLB), 통화 파생상품, NDS-RST, Tri Party Repo 플랫폼, MCX 및 NCDEX의 상품 파생상품 등 모든 시장 부문에 적용됐다.
- 최근 거래일인 4월 9일 BSE Sensex 지수는 379.93포인트(0.51%) 하락한 73,847.15에 마감했고, NSE Nifty50은 136.70포인트(0.61%) 하락한 22,399.15에 마감했다.
- 인도 중앙은행(RBI)이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하여 6.00%로 낮추고 통화정책 기조를 '완화적'으로 변경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하락했다.
- 이날 GIFT Nifty 선물은 오전 6시 40분 기준 910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인도 주식시장이 4월 11일 금요일 크게 높게 개장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발표 이후 글로벌 증시가 크게 반등한 영향으로, 인도 시장 역시 다음 거래일에 강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항생지수 시황 및 주요 뉴스
- 홍콩의 항셍 지수는 2025년 4월 10일 2.06% 상승한 20,681.78로 마감했다.
-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발표로 인한 글로벌 증시의 강세에 힘입은 결과다.
- 대부분의 아시아 시장이 미국의 정책 변화에 긍정적으로 반응했으며, 홍콩 증시도 이러한 흐름에 동참했다.
- 행 셍 기술 지수는 4,813.56으로 마감했으며, 이는 전일 대비 2.65%(124.37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한 관세를 일시적으로 유예했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여전히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홍콩 시장의 상승폭은 일본이나 대만에 비해 제한적이었다.
- 항셍 지수의 상승은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긴장이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반영하지만, 애널리스트들은 여전히 두 강대국 간의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상해종합지수 시황 및 주요 뉴스
- 중국 본토의 상해종합지수는 2025년 4월 10일 전일 대비 1.16% 상승하며 마감했다.
- 선전종합지수는 더 큰 폭인 2.46% 상승했다. CSI 300 지수는 1.31% 상승해 3,735.32로 마감했다.
- 중국 증시는 다른 아시아 시장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폭 상승에 그쳤지만, 미국이 대중 관세율을 125%로 상향했음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34%에서 84%로 조정하고, 관세로 인해 피해를 받는 산업에 대한 지원정책을 발표했다.
-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외에 나머지 75개 국가들은 관세 협상을 요청해왔다고 밝히며, 이들에 대한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하고 이 기간에는 10%로 관세를 낮추겠다고 발표했다.
- 중국 정부는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응하여 "미국의 압력에 굴복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하며 강경한 입장을 유지했다.
- 중국 언론은 높은 관세가 수출과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인정하면서도, 미국의 "관세 괴롭힘"에 굴복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주장했다.
호주 ASX50 시황 및 주요 뉴스
- 호주 증시의 S&P/ASX 200 지수는 2025년 4월 10일 4.7% 상승한 7,722.90으로 마감했다.
-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발표에 따른 글로벌 증시 랠리의 영향이다.
- 호주 시장은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 완화 소식에 긍정적으로 반응했으며, 특히 무역 의존도가 높은 호주 경제에 안도감을 주었다.
- S&P/ASX 50 지수는 호주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시가총액 기준 상위 50개 기업을 포함하는 주요 지수로, 호주 경제의 주요 부문을 폭넓게 대표한다.
- 이 지수는 금융, 광업, 헬스케어, 소비재 등 다양한 부문을 포괄하여 호주 경제의 전반적인 현황을 반영한다.
- 호주 증시의 강세는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 완화와 함께 호주 내부의 안정적인 경제 지표에 의해 뒷받침됐다.
- 최근 호주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결정에도 관심이 집중됐으며, 기준금리를 4.1%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 호주 증시는 특히 Commonwealth Bank, Newmont Corporation, Fortescue Metals와 같은 주요 기업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말레이시아 인덱스 시황 및 주요 뉴스
- 말레이시아의 FTSE Bursa Malaysia KLCI 지수는 2025년 4월 10일 전 거래일 대비 62.54포인트(4.47%) 상승한 1,463.13으로 마감했다.
-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부분의 국가에 대한 새로운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발표한 데 따른 긍정적인 반응이다.
- 이 소식은 지역 시장 전반의 투자 심리를 크게 개선시켰다.
- 이날 거래에서 모든 지수 구성 종목이 상승했으며, 주요 은행인 CIMB과 MAYBANK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 총 거래량은 44억1,140만 주, 거래 가치는 38억1,130만 링깃에 달했다.
- FTSE Malaysia 전체 주가 지수도 함께 상승해 10,842.41포인트로 마감했는데, 이는 498.63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 오후 5시 기준 링깃화는 달러당 4.4712링깃을 기록했다.
- 말레이시아 증시는 월스트리트의 상승에 힘입어 강하게 개장했는데, 오전 9시 10분 기준으로 FBM KLCI는 53.29포인트 상승했다.
- 이는 미국 관세 정책 변화가 동남아시아 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대만 가권지수 시황 및 주요 뉴스
- 대만 가권지수는 2025년 4월 10일 전일 대비 9.25% 급등한 19,000.16으로 마감했다.
- 이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유예" 발표에 따른 글로벌 증시의 반등과 맞물려 있다.
- 대만 증시는 장중 9.3%대 상승세를 유지했으며, 이는 다른 아시아 주요 증시들과 마찬가지로 미국의 정책 변화에 강하게 반응한 결과다.
- 이날 미국과 대립각을 세우는 중국 증시도 소폭 반등한 가운데, 대만 증시의 상승폭은 특히 두드러졌다.
- 일본 니케이지수가 9.04% 상승하고 대만 가권증시가 9.25% 급등한 것은 반도체 관련 주식의 강세와 관련이 있다.
- 특히 대만 반도체 기업인 TSMC는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1분기 실적을 달성했다는 소식도 대만 증시의 강세에 기여했다.
- 대만 가권지수의 급등은 글로벌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 완화, 반도체 산업의 호조,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 유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 이전 거래일에 대만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했던 것을 감안하면, 이날의 급등은 투자자들의 안도감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글로벌 증시에 영향을 미친 주요 뉴스
- 2025년 4월 10일 글로벌 증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뉴스는 단연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유예 발표였다.
-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75개국에 대해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하고 기본 10% 관세만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 이 발표는 전날 투자자들 사이에서 불안감을 고조시켰던 무역 분쟁 우려를 다소 완화시켰다.
-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 강하게 반응해 나스닥 지수가 12.16% 오르며 2001년 1월 이후 최대 일일 상승폭을 기록했다.
- S&P 500은 9.5% 상승해 2차 세계대전 이후 세 번째로 큰 단일 거래일 상승률을 기록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7.8% 상승해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다.
-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34%에서 84%로 조정하고, 관세로 인해 피해를 받는 산업에 대한 지원정책을 발표했다.
- 이에 미국도 재차 대응하며 대중 관세율을 125%로 상향하며 미-중 갈등이 격화됐다.
- 자본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쳤는데,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27.7원 내린 1456.4원으로 마감했다.
- 금값은 온스당 3,059.76달러를 기록하며 전 거래일 대비 2.6% 상승했고, 금 선물도 온스당 379.40달러로 전일 대비 89.20달러(3.0%) 상승한 가격에 마감했다.
- EU는 15일부터 미국산 상품 일부에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할 계획이었으나, 협상 타결 시 이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경제적 의미와 전망
- 이번 글로벌 증시의 급등은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되면서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심리가 감소한 결과다.
- 하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미-중 무역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과 이에 따른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 우려에 대해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다.
-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의약품에도 관세를 부과할 의향을 밝히면서, 제약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제약 기업들은 관세 부과 시 인력 감축과 R&D 비용 삭감 가능성을 언급하며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 금융 시장 측면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3월 FOMC 회의록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거의 만장일치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고, 인플레이션에 대한 위험은 상방으로, 고용은 하방으로 기울었다고 평가했다.
- 결론적으로, 2025년 4월 10일의 글로벌 증시 상승은 무역 정책 불확실성 완화에 따른 일시적인 안도감을 반영하고 있지만, 여전히 미-중 무역 갈등, 인플레이션, 금리 정책 등 다양한 변수가 존재한다.
- 향후 시장 변동성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90일간의 관세 유예 기간 동안 어떤 협상 결과가 도출될지가 향후 증시 방향성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경제금융이야기 >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22 MARKET R+PORT (1) | 2025.04.22 |
---|---|
2025.04.10 US MARKET REP+RT (2) | 2025.04.10 |
2025.04.09 MARKET REP+RT (4) | 2025.04.09 |
2025.04.09 US MARKET REP+RT (5) | 2025.04.09 |
2025.04.08 MARKET REP+RT (7)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