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rt
R과 구글 스프레드시트 연동하기 본문
pacman 패키지를 설치해줍니다
ifelse(!require(pacman),
install.packages(pacman),
library(pacman))
pacman의 패키지에 내장되어 있는 p_load() 함수를 이용하여 googlesheets4 패키지를 설치 해 줍니다.
pacman::p_load("googlesheets4")
install.packages() 를 이용하지 않고 p_load() 를 이용하는 이유는,
p_load("패키지 이름") 을 실행해주면 설치하지 않은 패키지는 설치 후 자동으로 library를 적용해주며,
설치 된 패키지는 자동으로 library()를 적용해주기 때문입니다. 유용한 패키지니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불러오고자 하는 구글 스프레드 시트를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접속해서 로드 해 줍니다.
저는 글을 위해 임의로 만든 시트를 불러 오도록 하겠습니다.
스프레드 시트에 위에는 URL, 가운데는 해당 dataframe table, 아래에는 "숫자","영어" 라는 시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불러오고자 하는 스프레드 시트의 URL을 복사하여, google spreadsheet 4 패키지의 read_sheet()에 적용해줍니다
googlesheets4::read_sheet(
"불러오고자 하는 시트의 URL", #URL
sheet = "불러오고자 하는 시트의 이름", #SHEET 이름
)
처음 실행을 하면 구글 로그인 창이 뜨면서 authorize 를 해줘야 합니다.
저는 이미 auto authorize가 되어있기 때문에 창이 뜨지 않아 스크린 샷을 생략하겠습니다.
read_sheet()를 실행해주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적용한 URL의 "숫자"시트를 불러온 결과입니다. 자동적으로 data.frame이 적용되었습니다.
이 시트를 R의 데이터프레임으로 만들고자 한다면 read_sheet 함수 앞에 데이터프레임을 정의 해 주면 됩니다.
저는 data라는 이름으로 적용해주겠습니다.
data = googlesheets4::read_sheet(
"시트의 URL", #URL
sheet = "숫자", #SHEET 이름
)
적용하여 View()를 이용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이제 이 데이터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치리 및 시각화를 진행 해 주시면 됩니다.